세포항상성연구센터

개요

세포항상성연구센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의 선도연구센터(Science Research Center)로 지정되어 2012년 9월 설립되었다. 매년 정부연구비 13억을 포함한 약 15억의 예산으로 운영되었고 7년간의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후 2019년 9월, 다시 후속 3년 사업에 추가 선정되어 성실하게 연구를 수행 중이다.

 


목표

본 센터는 자가소화(autophagy), 염증반응(inflammation), 세포사멸(apoptosis)의 유기적 조절 기전 및 연관성 연구를 통해 세포항상성의 이해 및 관련 질병의 발생 기작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세포항상성 조절에 관여하는 새로운 단백질/유전자의 기능을 세포 수준에서 연구함과 동시에 transgenic mice를 이용한 동물 수준에서의 연구를 병행함으로써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기초 연구의 중심 센터가 되고자 하며, 동시에 세포항상성 이상 시 발생하는 암, 면역질환의 발병원인을 규명함으로써, 해당 질환의 치료 방법 개발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성원

센터장 김태수 교수 외


형광코어이미징 분석센터

개요

형광코어이미징분석센터는 ‘핵심연구지원센터 조성 운영 지원 사업’으로 효율적 연구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 특화된 전문연구장비 기반 우수 연구집단을 육성하고자 교육부/한국연구재단/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이 주관하는 사업으로, 2019년 6월에 설립되었다. 사업기간동안 (2019년 6월~2025년 2월, 6년) 총 30억여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첨단장비 구입 및 장비전담인력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추가 지원 기회를 바탕으로, 분자영상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센터로 발전을 추구한다.



목표

본 센터는 공초점현미경, 유세포분석분리기, 실시간영상분석기, 소동물영상분석기 등의 첨단장비를 기반으로 광학 분자영상 기법을 활용한 전문연구를 중심으로 대학 내 외부의 연구자들과 장비 공동 활용과 공동연구를 수행한다. 첨단연구장비 인프라를 구축 및 운영을 기반으로 장비전문가를 양성하고 영상분석 핵심기술을 개발하여 생명현상의 규명과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기여함을 목표로 한다.


구성원

센터장 강동민 교수 외 이화여대 생명과학과 교수 6인, 센터 전담인력 7인 포함 총 13명

 



시스템생물학연구소

이화시스템생물학연구소(ERCSB)는 차세대 시퀀싱을 비롯한 다양한 오믹스 데이터를 질병/신약 등의 임상정보와 통합 분석함으로써 질병에 대한 이해와 신약개발을 추구하는 학제간 융합연구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주요 연구 주제로서 암 유전체, 약물-유전체 관련 시스템생물학 및 생명정보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미국 잭슨랩 유전체연구소를 비롯한 다양한 국내외 연구기관과 협력하고 있다. 또한 교육 및 인력양성을 위하여 단기 생명정보 교육 워크샵과 연구 인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참여 연구진: 이상혁 교수, 김완규 교수, 강상원 교수, 김재상 교수, 이대기 교수 등


에코과학연구소

에코과학연구소는 자연환경의 이해와 생물다양성 보존및 보전을 위한 연구와 교육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위촉 연구사업수행과 자연사교육을 통하여 자연의 이해와 국민의 정서함양및 과학적 소양을 고취하여 문화국민으로서의 긍지를 갖게하고자 1997년에 ‘자연사연구소’라는 명칭으로 설립되었다.


설립 이래 충실히 연구, 교육 사업을 수행, 발전하였고, 앞으로 연구 사업을 자연환경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개발논리에 맞설 수 있는 생태 논리를 개발하는데 집중하기 위해 2006년에 에코과학연구소로 명칭을 개정하였다. 본 연구소는 환경, 생태 분야의 국내 최초 및 최고의 연계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환경과학단과 생명과학분야를 통합하는 산· 학· 연 공동연구체계를 구축하는 교육 및 연구 사업단을 운영하며, 국제사회 환경, 생태 전략 전문가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본 연구소는 환경변화연구센터, 생물다양성연구센터, 의생학(擬生學)연구센터, 에코교육연구센터의 4개 연구센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교 교수와 연구위원이 소속되어 각 분야의 이론 및 실험적 연구와 외부 연구 및 용역연구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에코과학연구소와 자연사박물관 공동으로 국제 및 국내 학술회의 및 워크숍을 개최하고 연구논문집 발간과 특별전을 개최하여 학교 교육과 사회 교육에 이바지 하고 있다. 특히, 유치원생, 초등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자연사교실, 특강, 생태탐방, 전시실 교육, 디스커버리이벤트, 현장학습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하여 학생들과 일반인의 자연환경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크게 높이고 있다.


심장-면역-뇌 세포 

네트워크 연구단

개요

심장-면역-뇌 세포 네트워크 연구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사업(리더연구)에 선정되어 2020년 6월 설립되었다. 


목표

최근 의학 기술의 발달로 초기 심뇌혈관질환의 성공적인 치료 및 수명연장이 되고 있으나, 이로 인해 심근경색 환자는 뇌졸중, 뇌졸중 환자는 심근경색으로 발병이 서로 이환되거나 사망할 위험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근경색 및 뇌졸중이 만성 염증 질환인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발생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염증작용의 전 과정에 관여하는 면역계가 심장과 뇌의 상호작용을 통한 발병의 이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가설을 설정하였다.


구성원

연구단장 오구택 교수 외 특임교수 1인, 연구교수 3인, 박사후과정연구원 1인, 대학원생 8인, 연구원 4인 포함 총 18명

 


멀티태스킹 대식세포 연구센터

개요

멀티태스킹 대식세포 연구센터(MMRC)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의 이학분야 선도연구센터(Science Research Center)로 선정되어 2023년 9월 설립되었다. 본 센터는 연구 주제의 기초과학적 중요성과 센터장을 포함한 공동연구진의 우수한 연구력을 인정받아 SRC로 지정되었으며, 향후 7년간 총 105억 3천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MMRC는 염증이 단순한 ‘감염 방어자’라는 전통적인 개념을 넘어, 우리 몸의 다양한 조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항상성을 조절하는 중추적 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도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식세포를 단순한 면역세포가 아닌 ‘멀티태스킹 대식세포’로 정의하고, 이들이 면역반응을 넘어 다양한 말초 조직과 상호작용하는 생명현상을 탐구하는 새로운 연구 영역을 ‘인터커넥톰(Interconnectome)’으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염증과 조직항상성 분야에서 제시되는 4대 과학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목표

본 센터는 멀티태스킹 대식세포의 발생·분화, 조절인자 기능, 세포·조직 간 상호작용과 질환 발병 원인을 규명하여 기초생명현상의 이해를 넓히고, 질환 제어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식세포 기원의 생명 조절 원리 규명 : 조직거주 대식세포(Tissue-Resident Macrophage, TRM)의 이질성과 기원 분석을 통해, 대식세포가 어떻게 다양한 조직에서 특이적으로 분화하고 기능하는지 규명한다.

종양미세환경의 인터커넥톰 연구 : 종양 연관 대식세포(Tumor-Associated Macrophage, TAM)와 말초조직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여, 암의 발달과 면역 조절 과정에서 대식세포의 역할을 밝혀낸다.

면역-뇌조직 염증 상호작용 연구 : 뇌 염증 조절 기전을 규명하고, 신경계와 면역계의 연계성을 탐구하여 신경퇴행성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새로운 치료 전략을 모색한다.

장-뇌 상호작용(Gut-Brain Axis)과 비숙주(환경) 유래 염증 제어 : 장과 뇌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염증이 전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새로운 치료 타겟을 발굴한다.


구성원

센터장 이수영 교수 외


BK21 Four 미래대응 LIFE 인재양성팀

개요

미래대응 LIFE 인재양성팀은 4단계 BK21 미래인재 양성사업의 일환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첨단바이오 산업시대에 발맞추어, 미래의 질환에 대응할 수 있는 융합형 글로벌 바이오 연구리더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교육연구팀은 ‘L·I·F·E·’라는 네 가지 핵심 가치를 중심으로 교육과 연구 전략을 수립하고, 학생들이 첨단바이오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L·I·F·E 글로벌 인재를 양성을 위해 지원하고있다.


목표

L (Learning & Leadership) : 생명과학 분야의 자기 주도적 학습역량 강화 및 글로벌 바이오 연구리더 양성을 통한 미래 질환 대응 선도연구그룹으로의 성장

I (Innovation & Interdisplinary) : 첨단기술 대응 능력을 갖춘 혁신적 인재 양성, 연구지원 시스템의 혁신 및 우수 신진연구인력 확보를 통한 연구역량 제고

F (Future oriented & Fieldwork) : 기초연구와 응용연구의 융합을 통한 산학협력 R&D 확대 및 미래 지향적, 산업현장 적응력이 뛰어난 바이오 연구자 양성

E (Excellence & Ethics) : 첨단바이오 국제화 시대에 요구되는 세계적 수준의 우수 교육 프로그램 도입 및 해외 저명대학과의 연구 교류 확대를 통한 연구의 국제화


구성원

교육연구팀장 오구택 교수, 권미정 교수, 김태수 교수, 오양균 교수, 이상혁 교수, 이수영 교수, 임선아 교수, 정우진 교수

 


개인정보처리방침

03760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과  전화 02-3277-2352  이메일 e600250@ewha.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