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게시판  >  학과소식


2024년 노태영 교수, 'STEAM연구사업'의 미래융합기술파이오니어[전략형] 사업'에 선정

생명과학과
2025-02-17
조회수 50

생명과학과[대학노태영 교수, 줄기세포 휴지기·활성기 제어 원리 연구로 간 질환 극복에 기여원] 노태영 교수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STEAM연구사업’의 미래융합기술파이오니어[전략형] 사업에 선정되어 향후 최대 5년(2+3)간 45억 원을 지원받아 후성유전체 분석을 통한 간 줄기세포 휴지기 및 활성화 메커니즘 규명 연구를 진행한다.


미래융합기술파이오니어 사업은 신기술·산업 패러다임 창출 또는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핵심원천기술 개발 융합연구를 지원하는 과제다. 이번 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노태영 교수는 현재 기술로 해결이 어려운 줄기세포 연구의 기술적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줄기세포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으나 성체 조직에서는 일부만 활동하고 나머지는 휴지기 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이 있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줄기세포가 어떻게 휴지기를 유지하는지 또 어떤 방식으로 활성화되어 세포분열이 유도되는지 메커니즘을 이해하지 못해 줄기세포 활용 치료 기술 개발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파이오니어융합연구단(PRC, Pioneer Research Center)에서는 이러한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간 줄기세포 휴지기 모델 구축, 줄기세포능(Stemness) 유지 및 암화 추적 기술, 휴지기 탐지 바이오마커 발굴 및 약물 개발, 휴지기·활성기 전환 신기술 개발 등을 통하여 간 질환을 비롯한 다른 암종에도 적용 가능한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본교 PRC는 노태영 교수(연구책임자)와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차혁진 교수가 참여하는 융합연구팀으로, 간 재생 과정의 줄기세포/오가노이드를 모델로 (후성)유전체 프로파일링과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 규명을 통한 바이오마커 발굴 및 줄기세포 운명 조절 기술을 개발하여 간경화, 알코올성 지방간, 간염, 간암에 이르는 간 질환 치료 및 조직 재생에 필요한 원천기술을 임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융합연구를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차세대 오믹스 기술을 활용한 후성유전체 분석 권위자인 노태영 교수는 본교가 Ewha Vision 2030+ 발전전략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Ewha Frontier 10-10 사업’ 선도분야 ‘LIVE 사업단’(단장 정우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세계 수준의 연구성과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개인정보처리방침

03760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과  전화 02-3277-2352  이메일 e600250@ewha.ac.kr